고혈압 환자의 접근: 병력청취와 신체검진

일반적으로 고혈압전단계에서 약물치료는 권고하지 않는다.

주의혈압 및 고혈압전단계는 고혈압 발생이나 심뇌혈관질환 예방을 위해 적극적인 생활요법을 권고한다.

진료실 자동혈압을 이용해서 진단된 수축기 혈압 130 mmHg 이상의 심혈관질환 동반 환자는 생활요법과 함께 약물치료를 고려한다. (여기서 심혈관 질환이란 50세 이상의 관상동맥질환, 말초혈관질환, 대동맥질환, 심부전 or 좌심실비대 환자)

고혈압전단계 환자는 가면고혈압을 진단하기 위해 가정혈압 또는 활동혈압 측정을 고려한다.


혈압에 따른 심뇌혈관질환의 사망률은 115/75 mmHg에서 수축기혈압이 20 mmHg, 이완기혈압이 10 mmHg씩 증가함에 따라 2배씩 계속 증가한다. 따라서 혈압이 120/80 mmHg 이상인 경우 고혈압의 발생과 심혈관 사건을 예방하기 위해 생활요법을 시행할 것을 권고한다.


1. 병력청취 항목

: 생활습관 평가, 예후나 치료에 있어 중요한 다른 심혈관계 위험인자를 찾아내고, 고혈압의 이차 원인이 있는 지를 확인하고, 표적기관의 손상유무 및 심혈관계 질환 유무를 알아내기 위한 목적임을 생각하자.

1) 가족력

2) 나이: 35세 이전 or 55세 이후에 발병한 경우엔 2차성 고혈압 가능성을 생각.

3) 원인질환 감별점: 반복적 요로 감염력, 야뇨, 다음, 배부 외상의 병력이나 배 부통, 체중 변화

4) 심혈관질환 중증도: 협심증, 뇌허혈, 심부전, 말초혈관질환의 증상

5) 위험인자: 흡연, 당뇨, 고지혈증, 심혈관질환에 의한 급사의 가족력

6) 생활습관: 식사, 신체 활동도, 가족 사항, 직업, 교육 수준

 

2. 신체검진

1) 좌우 양팔 혈압(초진 시 반드시 확인), 맥박수

2) 키, 몸무게, 체질량지수

3) 허리둘레: 선 자세에서 복부는 노출시키고 숨은 편안히 내쉰 상태에서 갈비뼈 하단과 엉덩뼈 능선 상단의 중간 지점의 높이에서 피부가 눌리지 않도록 측정!

4) 경동맥, 복부 및 대퇴부 잡음

5) 갑상선 촉진

6) 심장 및 폐 진찰

7) 복부 진찰: 신비대, 종양, 방광팽창, 비정상적 대동맥 박동 유무

8) 하지 부종, 맥박 촉진

9) 신경학적 검사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