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페이지
수액요법 (테스트중)
강좌 설명
패키지 강의로 들으시는 분들은 들으셔도 됩니다만,
현재 강좌 개설 중이라 개별 강좌로는 들으실 수 없습니다.
테스트 중이니 조금만 기다려주세요.
강좌 구성
커리큘럼
| # | 강의명 | ||
|---|---|---|---|
| 1 | 결제 후 시청가능 | 기본 [1] 만성기침의 감별 및 경험적 치료 | 19:07 |
| 2 | 결제 후 시청가능 | 만성췌장염 [1] 원인들 그 중에서도 Pancreas divisum(분할췌장) | 12:46 |
| 3 | 결제 후 시청가능 | 기타 [1.1] 비알콜성 지방간(NAFLD) 진단: 다양한 지표들의 해석 | 12:18 |
| 4 | 결제 후 시청가능 | VCV mode와 PCV mode, 뇌압 상승을 막기 위해 적절한 모드는? | 19:17 |
| 5 | 결제 후 시청가능 | DL [1] 이상지질혈증의 치료 | 20:48 |
| 6 | 결제 후 시청가능 | 간경변, 문맥고혈압 병태생리 1 | 10:03 |
| 7 | 결제 후 시청가능 | AKI [1] 정의 및 기본 개념 | 15:50 |
| 8 | 결제 후 시청가능 | 심실중격결손(VSD) 기본 | 12:40 |
| 9 | 결제 후 시청가능 | CP [1] Constrictive pericarditis의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심초음파 지표 | 17:59 |
| 10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1 | 13:24 |
| 11 | 결제 후 시청가능 | 01강. 소아 예방접종의 큰 그림 | 24:33 |
| 12 | 결제 후 시청가능 | Air-bronchogram(공기 기관지 조영) | 01:40 |
| 13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18 | 08:08 |
| 14 | 결제 후 시청가능 | 설사 [1] Clostridioides difficile 감염 진단 및 치료 | 11:39 |
| 15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33 | 10:35 |
| 16 | 결제 후 시청가능 | 전해질 장애 [1] 대사성 산증 포괄적 개념 정리, 넓은 시야 | 17:04 |
| 17 | 결제 후 시청가능 | 폐고혈압 [1] 분류, 병태생리, 검사소견 | 16:07 |
| 18 | 결제 후 시청가능 | 적혈구 [1] 혈액 주요 수치 이해: RBC index, RPI | 13:05 |
| 19 | 결제 후 시청가능 | 수액요법의 개론, 금식 시 가장 적절한 조성의 수액 | 17:17 |
| 20 | 결제 후 시청가능 | 림프절염 [1] 림프절염 환자의 진단적 접근 | 12:22 |
| 21 | 결제 후 시청가능 | 기본 [2] 척추 배열 문제로 발생한 호흡곤란 기전 | 08:22 |
| 22 | 결제 후 시청가능 | 혈압 [1] 측정법에 따라 혈압이 달리 나오는 42세 여자 | 09:34 |
| 23 | 결제 후 시청가능 | 기본 [1] 헷갈리는 제2형 당뇨 진단 알고리즘 | 10:48 |
| 24 | 결제 후 시청가능 | MDS [1] 골수이형성증후군 감잡고, 분류 맞추기 | 11:01 |
| 25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01. NSTEMI 환자의 상황에 따른 치료 전략 | 11:42 |
| 26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01. 위세척 및 구토유발/활성탄/하제/전장관세척 | 14:53 |
| 27 | 결제 후 시청가능 | 급성 대사 합병증 [1] 당뇨병성 케톤산증의 병태생리, Euglycemic DKA 유발 약제 | 26:03 |
| 28 | 결제 후 시청가능 | 만성췌장염 [2] 효소 치료의 원리 | 05:03 |
| 29 | 결제 후 시청가능 | 기타 [1.2] 비알콜성 지방간(NAFLD) 치료 | 08:03 |
| 30 | 결제 후 시청가능 | VCV mode에서 발생한 고기도압 알람, 그 원인은? | 14:41 |
| 31 | 결제 후 시청가능 | DL [2] 당뇨병을 동반한 이상지질혈증 치료 | 17:52 |
| 32 | 결제 후 시청가능 | 간경변, 문맥고혈압 병태생리 2 | 07:40 |
| 33 | 결제 후 시청가능 | 설사 [1-1] fidaxomicin과 bezlotoxumab의 기전 이해와 적용 | 09:56 |
| 34 | 결제 후 시청가능 | AKI [2] 기본 개념 case 적용 | 14:07 |
| 35 | 결제 후 시청가능 | 심실중격결손: 산소포화도 패턴/좌우단락비 계산 | 09:33 |
| 36 | 결제 후 시청가능 | Air-crescent(공기 초승달 모양) | 02:02 |
| 37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19 | 09:54 |
| 38 | 결제 후 시청가능 | 설사 [2] 아메바 장염 진단 및 치료 | 08:09 |
| 39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34 | 15:30 |
| 40 | 결제 후 시청가능 | [심화] 전해질 장애 [2] 대사성 산증을 동반한 혼합성 산-염기의 해석 | 17:54 |
| 41 | 결제 후 시청가능 | 폐고혈압 [2] 병태생리로 한 번 더 나뉜다 | 09:02 |
| 42 | 결제 후 시청가능 | 적혈구 [2] Ferritin, transferrin, TIBC 개념 | 09:04 |
| 43 | 결제 후 시청가능 | 림프절염 [2] 키쿠치병(Kikuchi's)의 조직소견 및 처치 [심화] | 06:46 |
| 44 | 결제 후 시청가능 | 기본 [3] 저산소혈증의 진단 알고리즘 | 22:47 |
| 45 | 결제 후 시청가능 | 보충) 심실빈맥(VT) vs. 상심실빈맥(SVT) 감별 알고리즘 | 17:34 |
| 46 | 결제 후 시청가능 | 혈압 [2] 반사성 실신의 기립경검사 해석 [심화] | 19:29 |
| 47 | 결제 후 시청가능 | MDS [2] 골수이형성증후군 예후 결정하기 IPSS-R | 13:25 |
| 48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02. 심근경색에 의한 심인성 쇼크의 치료 | 19:06 |
| 49 | 결제 후 시청가능 | 급성 대사 합병증 [2] 당뇨병성 케톤산증 산-염기 분석: high anion gap 대사성 산증 | 20:27 |
| 50 | 결제 후 시청가능 | 만성췌장염 [3] 내시경 및 수술적 치료의 이해 | 15:16 |
| 51 | 결제 후 시청가능 | Auto(Intrinsic) PEEP 발생의 인지와 해결, 메커니즘 중심 | 18:57 |
| 52 | 결제 후 시청가능 | 간경변 환자에서 발생한 흉수, 어떻게? | 04:41 |
| 53 | 결제 후 시청가능 | DL [3]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의 병태생리 및 진단 | 14:41 |
| 54 | 결제 후 시청가능 | 아이젠멩거 증후군(Eisenmenger syndrome) | 11:10 |
| 55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2 | 11:45 |
| 56 | 결제 후 시청가능 | Air-fluid level(공기액체층) | 01:59 |
| 57 | 결제 후 시청가능 | 설사 [3] 약물 유발 설사와 microscopic colitis | 11:48 |
| 58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20 | 14:02 |
| 59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35 | 10:12 |
| 60 | 결제 후 시청가능 | 기타 [2.1] 자가면역성 간염(AIH)의 진단(조직소견) 및 치료 | 20:46 |
| 61 | 결제 후 시청가능 | [심화] 전해질 장애 [3] 대량수혈 및 기계환기에서 유발된 혼합성 산-염기 해석 | 10:44 |
| 62 | 결제 후 시청가능 | 폐고혈압 [3] Category 4 만성혈전색전 폐고혈압(CTEPH) | 09:52 |
| 63 | 결제 후 시청가능 | 적혈구 [3] 빈혈의 알고리즘(큰 그림 그리기) | 16:46 |
| 64 | 결제 후 시청가능 | AKI [3] 간경변 동반 AKI와 급성 신부전의 stage | 09:47 |
| 65 | 결제 후 시청가능 | 림프절염 [3] 톡소플라즈마, 결핵성 림프절염의 조직소견 및 처치 [심화] | 11:58 |
| 66 | 결제 후 시청가능 | 혈압 [3] 기립성 저혈압의 진단 및 치료 | 17:01 |
| 67 | 결제 후 시청가능 | MDS [3] 골수이형성증후군 예후 설정에 따른 치료 전략 | 13:45 |
| 68 | 결제 후 시청가능 | 기본 [4] 폐기종 환자의 폐기능 검사 소견 | 10:41 |
| 69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03. PetCO2 호기말 이산화탄소 분압의 개념 및 활용 | 12:12 |
| 70 | 결제 후 시청가능 | 급성 대사 합병증 [3] 당뇨병성 케톤산증(DKA) vs. 고삼투압성 고혈당 상태(HHS) 진단 | 09:53 |
| 71 | 결제 후 시청가능 | 급성 대사 합병증 [4] DKA, HHS 치료 알고리즘: 수액/인슐린/칼륨 | 19:35 |
| 72 | 결제 후 시청가능 | 만성췌장염 [4] 합병증과 배액술 | 05:38 |
| 73 | 결제 후 시청가능 | MDS [4] WHO 2022 분류로 다시 다지는 case 분석 [심화] | 20:16 |
| 74 | 결제 후 시청가능 | PCV mode 적용 중인 ARDS 환자의 기계환기 조정 | 17:27 |
| 75 | 결제 후 시청가능 | 간경변 환자의 전신부종, 왜 나타날까? | 09:29 |
| 76 | 결제 후 시청가능 | 기타 [3] 윌슨병의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진단 및 치료 | 16:07 |
| 77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2 보충: 이상/편위전도란? | 11:20 |
| 78 | 결제 후 시청가능 | Aortopulmonary window(대동맥폐동맥 창) | 03:41 |
| 79 | 결제 후 시청가능 | (보충) Wood unit이란? | 05:19 |
| 80 | 결제 후 시청가능 | DL [4] Dysbetalipoproteinemia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진단 및 치료 | 14:45 |
| 81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21 | 12:41 |
| 82 | 결제 후 시청가능 | 기능성 소화불량 진단 및 치료 | 22:22 |
| 83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36 | 11:00 |
| 84 | 결제 후 시청가능 | [심화] 전해질 장애 [4] 대사성 산증의 치료 | 16:20 |
| 85 | 결제 후 시청가능 | 폐고혈압 [4] Category 1 폐동맥고혈압 진단 및 표적치료제 | 11:58 |
| 86 | 결제 후 시청가능 | 적혈구 [4-1] 철결핍빈혈 치료 | 12:35 |
| 87 | 결제 후 시청가능 | AKI [4] 간경변 동반 AKI stage 별 처치와 간신증후군 | 14:00 |
| 88 | 결제 후 시청가능 | 뇌수막염 [1] 뇌수막염의 진단적 접근 및 세균성 뇌수막염의 치료 | 09:42 |
| 89 | 결제 후 시청가능 | 혈압 [4] 3종류의 항고혈압제에도 혈압이 조절되지 않는 42세 남자 | 31:21 |
| 90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04. NSTE-ACS 환자의 응급 심장 중재술 알고리즘 | 11:42 |
| 91 | 결제 후 시청가능 | Volume-controlled A/C mode 상황 분석과 흡기 및 호기 시 hold | 15:57 |
| 92 | 결제 후 시청가능 | 혈압 [5] 일시적 의식소실 및 반사성 실신의 진단 및 치료 알고리즘 | 29:48 |
| 93 | 결제 후 시청가능 | 심실중격결손 치료 | 09:52 |
| 94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3 | 11:38 |
| 95 | 결제 후 시청가능 | 무기폐(atelectasis) 발생원인 및 분류 | 07:29 |
| 96 | 결제 후 시청가능 | DL [5] Familial chylomicronemia syndrome,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진단 및 치료 | 13:56 |
| 97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22 | 11:52 |
| 98 | 결제 후 시청가능 | 변비 [1] 기능성 변비 진단 및 Bristol stool form scale | 10:03 |
| 99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37 | 09:56 |
| 100 | 결제 후 시청가능 | 폐결절 [1] 간유리 결절의 처치 알고리즘 | 10:35 |
| 101 | 결제 후 시청가능 | 적혈구 [4-2] IDA 치료 호전 및 IDA 악화 시 변화는 지표들 | 13:19 |
| 102 | 결제 후 시청가능 | [심화] 전해질 장애 [5] 저혈압을 보이는 저칼륨혈증 환자의 이해 | 13:14 |
| 103 | 결제 후 시청가능 | AKI [5] intrinsic AKI: 급성 세뇨관 괴사(ATN) vs. 급성 사이질 신염(AIN) | 24:10 |
| 104 | 결제 후 시청가능 | 뇌수막염 [2] 세균성 뇌수막염의 변칙 case | 09:45 |
| 105 | 결제 후 시청가능 | 기본 [2] 연속혈당측정기(CGM) 모니터링 기준과 해석 시 주의사항 | 12:27 |
| 106 | 결제 후 시청가능 | CHB [1] B형간염 혈청학적 표지자 해석 | 08:12 |
| 107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01. SAAG(serum ascites albumin gradient) 이해 | 23:51 |
| 108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05. 제세동에 필요한 에너지 | 06:48 |
| 109 | 결제 후 시청가능 | CHB [2] 만성B형간염 자연경과: 어떻게, 왜 구분하는가? | 15:57 |
| 110 | 결제 후 시청가능 | Pressure-controlled A/C mode와 double triggering | 16:07 |
| 111 | 결제 후 시청가능 | 심방중격결손(ASD) 발생과 분류 | 05:28 |
| 112 | 결제 후 시청가능 | AKI [6] Acyclovir 유발 신부전과 ATN | 15:45 |
| 113 | 결제 후 시청가능 | 우상엽 무기폐(RUL atelectasis) | 07:50 |
| 114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23 | 10:54 |
| 115 | 결제 후 시청가능 | 변비 [2] 변비 환자의 원인 감별 진단 알고리즘 | 11:56 |
| 116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38 | 10:02 |
| 117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3 보충: 우심실유출로 빈맥(RVOT) | 06:38 |
| 118 | 결제 후 시청가능 | DL [6] 다낭성난소증후군(PCOS)의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진단 | 16:44 |
| 119 | 결제 후 시청가능 | 폐결절 [2] 고형결절의 처치 알고리즘 [Lung RADS 1.1] | 10:56 |
| 120 | 결제 후 시청가능 | 적혈구 [4-3] 만성질환에 의한 빈혈(vs. 철결핍성 빈혈) | 20:05 |
| 121 | 결제 후 시청가능 | [심화] 전해질 장애 [6] 레닌과 알도스테론이 억제된 저칼륨혈증, SAME/Licorice | 10:15 |
| 122 | 결제 후 시청가능 | AKI [7] intrinsic AKI: TMA의 감별(TTP, typical/atypical HUS) | 15:37 |
| 123 | 결제 후 시청가능 | 뇌수막염 [3] 결핵성, 진균성 뇌수막염의 진단 및 치료 | 14:35 |
| 124 | 결제 후 시청가능 | 혈압 [6] 전해질 불균형을 초래한 원인 항고혈압제 | 10:38 |
| 125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02. 복수의 발생기전 | 11:34 |
| 126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06. Wide QRS tachycardia의 치료 알고리즘 | 18:31 |
| 127 | 결제 후 시청가능 | ARDS 환자에게 Recruitment maneuver와 PEEP의 의미 | 12:16 |
| 128 | 결제 후 시청가능 | 심방중격결손(ASD) 심잡음 | 10:24 |
| 129 | 결제 후 시청가능 | CHB [3] B형 간염 혈청학적 표지자 해석 [심화] | 22:16 |
| 130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4 | 09:04 |
| 131 | 결제 후 시청가능 | 우중엽 무기폐(RML atelectasis) | 04:10 |
| 132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24 | 12:14 |
| 133 | 결제 후 시청가능 | 변비 [3] 대장통과시간 측정 및 항문 내압 검사의 결과 해석 [심화] | 20:43 |
| 134 | 결제 후 시청가능 | 변비 [4] 변비 치료제 상황별 적용 | 22:23 |
| 135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39 | 05:52 |
| 136 | 결제 후 시청가능 | DL [7] 다낭성난소증후군(PCOS)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상황별 치료 | 17:42 |
| 137 | 결제 후 시청가능 | 폐암 [1] 비소세포폐암의 다양한 상황별 치료 | 15:48 |
| 138 | 결제 후 시청가능 | 적혈구 [5-1] Folate, cobalamin 결핍 시 MCV가 커지는 이유? | 08:42 |
| 139 | 결제 후 시청가능 | [심화] 전해질 장애 [7] 항암제 관련 전해질 이상의 대처 | 12:23 |
| 140 | 결제 후 시청가능 | AKI [8] Post-renal AKI로의 입문: 요로결석의 성분별 개별화된 접근 | 14:08 |
| 141 | 결제 후 시청가능 | 뇌수막염 [4] 바이러스 뇌수막염의 영상적 특성 및 항바이러스제 사용 [심화] | 07:43 |
| 142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03. 복수의 원인: 통합적 관점에서 | 10:44 |
| 143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07. 자발순환회복(ROSC)후 처치 | 25:52 |
| 144 | 결제 후 시청가능 | CHB [4] 만성B형간염 치료제 선택: 상황별 경구 항바이러스제 | 29:06 |
| 145 | 결제 후 시청가능 | Volume-Controlled A/C 적용 시 발생한 저기도압 알람, 원인 규명과 대처 | 13:14 |
| 146 | 결제 후 시청가능 | 심방중격결손(ASD) 임상양상 | 05:14 |
| 147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5 | 07:42 |
| 148 | 결제 후 시청가능 | 우하엽 무기폐(RLL atelectasis) | 04:42 |
| 149 | 결제 후 시청가능 | 변비 [5] CIPO(만성 가성 장폐쇄증)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처치 | 13:41 |
| 150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25 | 12:17 |
| 151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40 | 13:23 |
| 152 | 결제 후 시청가능 | 폐암 [2] 전이성 비소세포폐암(NSCLC)의 치료 전략 | 15:07 |
| 153 | 결제 후 시청가능 | 적혈구 [5-2] 거대적혈모구 빈혈 원인(Cobalamin 흡수과정) | 11:38 |
| 154 | 결제 후 시청가능 | [심화] 전해질 장애 [8] 간이식 후 복용 중인 약물 유발 고칼륨혈증의 대처 | 09:18 |
| 155 | 결제 후 시청가능 | AKI [9] 요침사 소견과 요로결석 종류별 치료 응용 | 10:17 |
| 156 | 결제 후 시청가능 | 불명열(FUO)의 진단적 알고리즘 [심화] | 12:55 |
| 157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04. 일반적 복수 및 난치성 복수의 치료 | 17:01 |
| 158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08. 아편계 약물 중독(opioid poisoning) 처치 | 10:56 |
| 159 | 결제 후 시청가능 | CHB [5] 임신 시 만성B형간염 치료 | 08:08 |
| 160 | 결제 후 시청가능 | 비동기화 발생의 원인 및 대처: Ineffective/Reverse/Auto triggering, Flow starvation | 13:49 |
| 161 | 결제 후 시청가능 | 심방중격결손(ASD) 진단/검사소견 | 07:03 |
| 162 | 결제 후 시청가능 | 신이식 [1] Resistive index(RI)의 해석과 이식 신장 동맥 협착 | 21:15 |
| 163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6 | 10:22 |
| 164 | 결제 후 시청가능 | 좌상엽 무기폐(LUL atelectasis) | 08:43 |
| 165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26 | 13:11 |
| 166 | 결제 후 시청가능 | 대장 종양 [1] 내시경적 절제 후 경과관찰 및 추가 처치 | 16:37 |
| 167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41 | 09:08 |
| 168 | 결제 후 시청가능 | 폐암 [3] 소세포폐암의 치료 전략 | 04:19 |
| 169 | 결제 후 시청가능 | 적혈구 [5-3] 거대적혈모구 빈혈의 특징적 PBS 소견 | 07:04 |
| 170 | 결제 후 시청가능 | 폐암 [4] 종양 치료 반응 평가 WHO, RECIST, irRC, iRECIST | 17:05 |
| 171 | 결제 후 시청가능 | AKI [10] post-renal AKI 상황별 처치, 내과의사로의 비뇨기계 시술 적용 | 15:20 |
| 172 | 결제 후 시청가능 | 피부연조직감염 [1] 그람양성구균의 분류, 피부층별 감염병소 | 10:10 |
| 173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05. 식도정맥류의 치료 | 14:44 |
| 174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09. TCA(삼환계 항우울제) 중독 처치 | 10:45 |
| 175 | 결제 후 시청가능 | 만성 합병증 [1] 당뇨병성 신경병증(Diabetic neuropathy)의 진단 | 17:35 |
| 176 | 결제 후 시청가능 | 경구혈당강하제 [1] DPP4 억제제 심층 이해 | 11:35 |
| 177 | 결제 후 시청가능 | 골다공증 [1] DXA를 이용한 골밀도 결과 판정하기 | 10:07 |
| 178 | 결제 후 시청가능 | VC-SIMV + PS mode의 상황 분석 및 asynchrony 해결 | 17:57 |
| 179 | 결제 후 시청가능 | RCM [1] 심장 아밀로이드증의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진단 및 치료 | 29:00 |
| 180 | 결제 후 시청가능 | 심방중격결손(ASD) 치료/예후 | 05:54 |
| 181 | 결제 후 시청가능 | 02강. HPV(인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 | 14:40 |
| 182 | 결제 후 시청가능 | 신이식 [2] BK virus nephropathy의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진단 및 치료 전략 | 28:48 |
| 183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6 보충: LVH(좌심실 비대) 심전도 | 13:19 |
| 184 | 결제 후 시청가능 | 투석 [1] 언제 투석을 시작할까? | 11:44 |
| 185 | 결제 후 시청가능 | 좌하엽 무기폐(LLL atelectasis) | 05:09 |
| 186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27 | 08:11 |
| 187 | 결제 후 시청가능 | 대장 종양 [2] 결장암의 병기 분류 및 stage II, III 치료 | 13:06 |
| 188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42 | 10:11 |
| 189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42 보충문제 | 10:45 |
| 190 | 결제 후 시청가능 | 비결핵항산균 [1] NTM 진단 및 개념 잡기 | 16:50 |
| 191 | 결제 후 시청가능 | 요폐색 후 발생한 다뇨, 어떤 수액으로 어떻게 따라가지? | 10:36 |
| 192 | 결제 후 시청가능 | 적혈구 [5-4] 거대적혈모구 빈혈의 치료 | 06:10 |
| 193 | 결제 후 시청가능 | 폐렴 [1] 분류가 어려운 폐렴의 접근 및 치료 | 09:24 |
| 194 | 결제 후 시청가능 | 피부연조직감염 [2] 연조직염(cellulitis)의 1,2차 치료 및 지역사회 MRSA의 치료 | 17:22 |
| 195 | 결제 후 시청가능 | 심막염 [1] 호흡 주기에 따라 수축기 혈압이 크게 차이나는 29세 남자 | 08:43 |
| 196 | 결제 후 시청가능 | CHB [6] 만성B형간염 환자의 면역 억제/항암화학요법 치료 | 13:00 |
| 197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06. 위정맥류의 분류 및 치료 | 17:18 |
| 198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10. 저체온증(hypothermia) 분류 및 병태생리 | 23:19 |
| 199 | 결제 후 시청가능 | 췌장암 [1] 진단 및 palliative Tx | 12:55 |
| 200 | 결제 후 시청가능 | 골다공증 [2] 치료제 전반적 이해 | 17:01 |
| 201 | 결제 후 시청가능 | 자발호흡시험(SBT)와 비피로모드 적용 | 17:56 |
| 202 | 결제 후 시청가능 | RCM [2] 이완기 장애를 보이는 심근병증의 지표 이해 | 21:09 |
| 203 | 결제 후 시청가능 | 방실중격결손(AVSD) | 13:30 |
| 204 | 결제 후 시청가능 | 신이식 [3] 혈액투석 AVF와 가성동맥류(pseudoaneurysm), 버튼홀(buttonhole) 천자법 | 31:48 |
| 205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7 | 10:02 |
| 206 | 결제 후 시청가능 | 02-2강. 남성동성애자의 HPV(인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 | 09:42 |
| 207 | 결제 후 시청가능 | Round(ed) atelectasis(원형무기폐) | 04:27 |
| 208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28 | 08:36 |
| 209 | 결제 후 시청가능 | 대장 종양 [3] 국소 진행성 직장암의 치료 | 07:43 |
| 210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43 | 11:42 |
| 211 | 결제 후 시청가능 | 비결핵항산균 [2] NTM 치료 원리 | 12:00 |
| 212 | 결제 후 시청가능 | 적혈구 [6-1] 재생불량성 빈혈 원인 및 진단 | 11:05 |
| 213 | 결제 후 시청가능 | 폐렴 [2] 폐렴의 중증도 분류 및 치료 [심화] | 11:21 |
| 214 | 결제 후 시청가능 | 피부연조직감염 [3] Streptococcal toxic shock syndrome의 진단 및 처치 [심화] | 14:10 |
| 215 | 결제 후 시청가능 | 심막염 [2] 심장끝에서 손톱으로 긁는 소리가 나는 21세 남자 | 09:10 |
| 216 | 결제 후 시청가능 | CHC [1] C형 간염의 진단 및 혈청학적 표지자 해석 | 09:12 |
| 217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07. 간성뇌증의 분류 및 감별진단 | 15:20 |
| 218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11. 저체온증 치료 [1] 수동적/능동적 외부 재가온법 | 14:17 |
| 219 | 결제 후 시청가능 | 만성 합병증 [2] 당뇨병성 위마비에서 사용하는 약물 | 12:15 |
| 220 | 결제 후 시청가능 | 만성 합병증 [3] 신경병증성 통증 약물의 이해 | 11:44 |
| 221 | 결제 후 시청가능 | 췌장암 [2] 보조항암요법 | 05:44 |
| 222 | 결제 후 시청가능 | CHC [2] 만성C형간염 치료제 개념부터 범유전자형 치료제의 활용 | 17:05 |
| 223 | 결제 후 시청가능 | 골다공증 [3] 폐경 후 여성 골다공증 치료 | 15:45 |
| 224 | 결제 후 시청가능 | 반복된 SBT 실패 시 대처 | 15:28 |
| 225 | 결제 후 시청가능 | 동맥관 개존(PDA) | 09:14 |
| 226 | 결제 후 시청가능 | 03강. 소아의 폐렴구균 백신 접종 | 11:09 |
| 227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8 | 10:47 |
| 228 | 결제 후 시청가능 | 신이식 [4] CNI(calcineurin inhibitor) 신병증의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진단과 치료 | 37:53 |
| 229 | 결제 후 시청가능 | 기관지확장증(bronchiectasis) | 08:41 |
| 230 | 결제 후 시청가능 | 심막염 [3] 심근경색 후 발생하는 심막염, Dressler syndrome | 13:00 |
| 231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29 | 08:37 |
| 232 | 결제 후 시청가능 | 대장 종양 [4] 전이성 대장암의 항암화학요법 | 14:42 |
| 233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44 | 09:43 |
| 234 | 결제 후 시청가능 | 적혈구 [6-2] 재생불량성 빈혈의 치료 | 18:37 |
| 235 | 결제 후 시청가능 | 피부연조직감염 [4] 괴사성근막염의 단계적 접근 및 치료 [심화] | 11:01 |
| 236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08. 간성뇌증의 병태생리 및 치료 | 18:22 |
| 237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12. 저체온증 치료 [2] 능동적 내부 가온법 | 18:29 |
| 238 | 결제 후 시청가능 | 종격동 (1) 우연히 가슴 X선 사진에서 발견된 종괴의 감별 | 10:39 |
| 239 | 결제 후 시청가능 | 췌장암 [3] 절제 가능 여부를 통한 수술 결정, 수술 전후 치료 [심화] | 22:29 |
| 240 | 결제 후 시청가능 | CHC [3] 만성C형간염 치료 선택 (1) 엡클루사 | 23:27 |
| 241 | 결제 후 시청가능 | Extubation(탈관) 후 보조 산소 요법과 HFNC | 20:55 |
| 242 | 결제 후 시청가능 | 미숙아와 동맥관 개존(PDA) | 11:03 |
| 243 | 결제 후 시청가능 | 04강. 성인의 폐렴구균 백신 접종 | 14:02 |
| 244 | 결제 후 시청가능 | 신이식 [5] 신장 이식 전 검사의 면역학 이해와 해석 | 37:48 |
| 245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9 | 07:51 |
| 246 | 결제 후 시청가능 | 04-2강. 성인의 폐렴구균 백신 접종 2025 업데이트 | 25:42 |
| 247 | 결제 후 시청가능 | 골다공증 [4] 치료제 선택 알고리즘 | 22:32 |
| 248 | 결제 후 시청가능 | Opacity(음영증가), consolidation, GGO | 05:26 |
| 249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30 | 09:13 |
| 250 | 결제 후 시청가능 | 대장 종양 [5] 전이성 대장암의 면역항암요법 [심화] | 14:28 |
| 251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45 | 10:38 |
| 252 | 결제 후 시청가능 | 적혈구 [7-1] 자가면역 용혈성 빈혈 | 23:40 |
| 253 | 결제 후 시청가능 | 말라리아 [1] 말라리아의 생활사와 PB smear 소견을 통한 진단 | 09:00 |
| 254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09. 간성뇌증 재발 예방 및 불현성 간성뇌증의 치료 | 11:41 |
| 255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13. 벤조디아제핀(BZD) 중독 시 처치 | 09:02 |
| 256 | 결제 후 시청가능 | 종격동 (2) SVC syndrome의 병태와 mass type 별 치료 | 13:04 |
| 257 | 결제 후 시청가능 | 만성 합병증 [4] 당뇨병성 신경병증(Diabetic neuropathy)의 치료 | 12:29 |
| 258 | 결제 후 시청가능 | Cuff leak test 해석과 처치 | 13:26 |
| 259 | 결제 후 시청가능 | 폐동맥 협착(PS) | 19:25 |
| 260 | 결제 후 시청가능 | 05강. HBV 노출 후 예방 - 주산기 감염 | 16:53 |
| 261 | 결제 후 시청가능 | CHC [4] 만성C형간염 치료 선택 (2) 마비렛과 보세비 | 18:54 |
| 262 | 결제 후 시청가능 | 신이식 [6] 항체매개거부반응(ABMR)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진단 | 26:09 |
| 263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10 | 10:38 |
| 264 | 결제 후 시청가능 | 폐결절(nodule): 고형/반고형결절 | 05:23 |
| 265 | 결제 후 시청가능 | 골연화증 [1] 종양 유발 골연화증의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진단 및 치료 | 12:23 |
| 266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31 | 07:17 |
| 267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46 | 11:48 |
| 268 | 결제 후 시청가능 | 적혈구 [7-2] 용혈성 빈혈의 lab 소견 왜 이렇게 나올까? | 14:45 |
| 269 | 결제 후 시청가능 | 말라리아 [2] 말라리아의 기본 치료 및 내성 발생 시 2차 약제 [심화] | 09:17 |
| 270 | 결제 후 시청가능 | 대장 종양 [6] 대장 폴립 증후군 중심으로 대장암 전체 분류 그리기 | 22:40 |
| 271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10.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 | 33:33 |
| 272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14. 성인의 심정지 알고리즘 및 약물: PEA(무맥성 전기활동) 중심 | 23:53 |
| 273 | 결제 후 시청가능 | 종격동 (3) Thymic mass 수술적 절제 후 상황별 치료, 종격동 종양의 큰 흐름 | 20:11 |
| 274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11. 간경변 환자의 급성 신손상, 간신 증후군 | 14:59 |
| 275 | 결제 후 시청가능 | 흡기/호기성 Stridor와 후두부종, 그에 대한 대처 | 13:50 |
| 276 | 결제 후 시청가능 | 단순 대동맥 축착(simple CoA) | 12:33 |
| 277 | 결제 후 시청가능 | 06강. 경피, 점막에 의한 HBV 노출 후 예방 | 13:03 |
| 278 | 결제 후 시청가능 | 심근염 [1] 심근염의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진단 및 치료 | 30:00 |
| 279 | 결제 후 시청가능 | 신이식 [7] 항체매개거부반응(ABMR)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치료 | 21:49 |
| 280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11 | 10:20 |
| 281 | 결제 후 시청가능 | 반고형결절(subsolid nodule) 해석 | 07:49 |
| 282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32. Wide QRS tachycardia의 치료 알고리즘 | 10:17 |
| 283 | 결제 후 시청가능 | CHC [5] 만성C형간염 치료 (3) 까다로운 유전자 3형 + RAS 양성 + 간경변의 치료 전략 | 18:00 |
| 284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47 | 08:05 |
| 285 | 결제 후 시청가능 | 적혈구 [8-1]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PNH) | 15:25 |
| 286 | 결제 후 시청가능 | [심화] 말라리아 [3] 중증 말라리아의 lab 이해 및 치료 | 19:02 |
| 287 | 결제 후 시청가능 | AML [1] 급성골수성백혈병 위험도 분류 연습하기 | 08:58 |
| 288 | 결제 후 시청가능 | 대장 종양 [7]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FAP): 수술 전 후 내시경 및 수술적 치료 전략 | 15:55 |
| 289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15. 동기화 vs. 비동기화 개념 및 적응증 | 07:17 |
| 290 | 결제 후 시청가능 | 랜덤 [1] 흉부 X선에서 mass like lesion이 보이는 객혈, 기침, 가래, 두통을 동반한 환자 | 11:54 |
| 291 | 결제 후 시청가능 | tree in bud(나뭇가지 발아 모양) | 05:36 |
| 292 | 결제 후 시청가능 | ARDS 환자에서의 근이완제(NMBA) 사용하기 | 20:51 |
| 293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16. 에틸렌글리콜 중독 진단 및 치료 | 15:06 |
| 294 | 결제 후 시청가능 | 복잡 대동맥 축착(complex CoA) | 10:33 |
| 295 | 결제 후 시청가능 | 07강. 파상풍-디프테리아-백일해 백신접종 | 15:10 |
| 296 | 결제 후 시청가능 | 신이식 [8] 신이식 후 발생한 ATN(급성세뇨관괴사) 감별 진단 및 치료 | 24:20 |
| 297 | 결제 후 시청가능 | 산소요법의 이해: Nasal cannula로 전달되는 FiO2 | 11:59 |
| 298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12 | 07:36 |
| 299 | 결제 후 시청가능 | CHC [6] 만성C형간염 치료 (4) 비대상성 간경변에서 간이식과 DAA 우선 순위 | 14:27 |
| 300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33 | 13:23 |
| 301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48 | 08:39 |
| 302 | 결제 후 시청가능 | [심화] 골관절감염 [1] 척추 골수염의 영상 소견 및 기전, 치료 | 14:02 |
| 303 | 결제 후 시청가능 | 적혈구 [8-2] PNH의 진단 및 치료 case, 개념의 확장 | 13:05 |
| 304 | 결제 후 시청가능 | AML [2] 급성골수성백혈병 예후 설정에 따른 치료 결정하기 | 12:57 |
| 305 | 결제 후 시청가능 | 대장 종양 [8] 유전성비용종대장암(HNPCC, Lynch syndrome) 진단: 더욱 중요해진 유전자 검사 | 11:36 |
| 306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12. 급성간부전의 분류와 원인, 치료 [심화] | 37:52 |
| 307 | 결제 후 시청가능 | 랜덤 [2] Chest CT상 broncholithiasis로 확인된 Pulmonary actinomycosis | 24:59 |
| 308 | 결제 후 시청가능 | 벤츄리(venturi) 마스크와 COPD, NIV로 이어지는 치료 흐름 | 24:07 |
| 309 | 결제 후 시청가능 | 대동맥활 단절(IAA) | 13:19 |
| 310 | 결제 후 시청가능 | 08강. 상처 치료 시 파상풍 예방 | 15:03 |
| 311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17. 아나필락시스의 진단 및 처치 | 13:34 |
| 312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13 | 07:46 |
| 313 | 결제 후 시청가능 | Kerley line(컬리선), 소엽간중격비후 | 06:40 |
| 314 | 결제 후 시청가능 | 염증성 장질환 [1] 궤양성 대장염의 진단: 내시경, 조직소견, 활성도 평가 등 | 17:26 |
| 315 | 결제 후 시청가능 | 적혈구 [9] 유전 둥근적혈구증(HS) | 14:01 |
| 316 | 결제 후 시청가능 | [심화] 골관절감염 [2] 척추 골수염의 수술 기준, 경구약 전환 | 11:11 |
| 317 | 결제 후 시청가능 | AML [3] 급성골수성백혈병 표적치료제 및 재발/저항 시 대처 | 07:56 |
| 318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34 | 11:50 |
| 319 | 결제 후 시청가능 | Air(-filled) cyst(기낭) | 02:34 |
| 320 | 결제 후 시청가능 | Fallot 4징(TOF) 기본 | 14:53 |
| 321 | 결제 후 시청가능 | 09강. 수두 백신 접종 | 15:41 |
| 322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14 | 12:51 |
| 323 | 결제 후 시청가능 | 염증성 장질환 [2] 궤양성 대장염 치료 1 | 12:48 |
| 324 | 결제 후 시청가능 | AML [4] 급성전골수성백혈병(APL) 치료 및 APL differentiation syndrome | 16:52 |
| 325 | 결제 후 시청가능 | 적혈구 [10] 판코니 빈혈 진단 및 치료 | 11:15 |
| 326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35. 심실빈맥일까? | 07:30 |
| 327 | 결제 후 시청가능 | IE [1] 감염심내막염의 진단기준과 병태생리 이해 | 13:57 |
| 328 | 결제 후 시청가능 | 심정지 환자의 소생 후 처치는 어떻게? 2020-2025 trend | 30:32 |
| 329 | 결제 후 시청가능 | cavity(공동) | 02:09 |
| 330 | 결제 후 시청가능 | Fallot 4징(TOF) 치료 | 10:25 |
| 331 | 결제 후 시청가능 | 적혈구 [11] 빈혈의 알고리즘 II(전체 정리) | 13:55 |
| 332 | 결제 후 시청가능 | 10강. 풍진에 노출된 임신부 처치 및 혈청학적 해석 | 18:01 |
| 333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15 | 11:00 |
| 334 | 결제 후 시청가능 | 염증성 장질환 [3] 궤양성 대장염 치료 2 + CMV colitis 진단 및 치료 | 09:03 |
| 335 | 결제 후 시청가능 | IE [2] 감염심내막염 치료: Enterococcus의 항생제 선택 | 08:15 |
| 336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18. 심정지 후 자발 순환 회복 된 환자에게 필요한 조치 (1) | 10:50 |
| 337 | 결제 후 시청가능 | bulla(기포) | 03:21 |
| 338 | 결제 후 시청가능 | 뇌하수체 [1] 고프로락틴혈증의 진단 및 치료 | 11:22 |
| 339 | 결제 후 시청가능 | 완전 대혈관전위 상황별 혈역학/증상/검사소견 | 10:57 |
| 340 | 결제 후 시청가능 | 췌/담도 [1] IgG4-related disease 병태생리로 진단 및 치료 이해하기 | 22:36 |
| 341 | 결제 후 시청가능 | 기본 [1] 혈뇨의 진단 알고리즘 | 21:19 |
| 342 | 결제 후 시청가능 | 11강. 폴리오(IPV/OPV) 예방접종 | 11:22 |
| 343 | 결제 후 시청가능 | 투석 [2] 혈액투석 적정성 평가 | 15:21 |
| 344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16 | 10:44 |
| 345 | 결제 후 시청가능 | 경구혈당강하제 [2] SGLT2 inhibitor 심층 이해, 당뇨 환자의 이상지질혈증/고혈압 치료 | 20:47 |
| 346 | 결제 후 시청가능 | 만성 합병증 [5] 당뇨병성 신병증의 병태생리, 자연경과 및 신조직 소견 | 16:47 |
| 347 | 결제 후 시청가능 | 신이식 [9] 세포거부매개반응(TCMR) 병태생리와 진단 | 18:55 |
| 348 | 결제 후 시청가능 | 염증성 장질환 [4] 크론병의 진단: 내시경 및 질병 활성도 평가 | 12:20 |
| 349 | 결제 후 시청가능 | COPD [1]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진단 및 분류 | 25:17 |
| 350 | 결제 후 시청가능 | IE [3] 감염심내막염 치료: Staphylococcus와 HACEK의 항생제 선택 | 10:38 |
| 351 | 결제 후 시청가능 | 심부전 [1] 심부전 치료제의 사용 시 주의사항 | 18:46 |
| 352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19. 심정지 후 자발 순환 회복 된 환자에게 필요한 조치 (2) | 07:53 |
| 353 | 결제 후 시청가능 | pneumatocele(폐기류) | 03:43 |
| 354 | 결제 후 시청가능 | 뇌하수체 [2] 프로락틴종(prolactinoma)의 치료 | 09:10 |
| 355 | 결제 후 시청가능 | 담도 [2] PBC(원발성 담즙성 담관염) 병태생리를 통한 진단 및 치료 이해 | 23:38 |
| 356 | 결제 후 시청가능 | 완전 대혈관전위 치료 | 07:11 |
| 357 | 결제 후 시청가능 | 12강. 일본 뇌염(사백신/생백신) 예방접종 | 15:41 |
| 358 | 결제 후 시청가능 | 만성 합병증 [6] 당뇨병성 신병증의 진단 및 치료, 신생검의 적응증 | 17:57 |
| 359 | 결제 후 시청가능 | - Nutcracker syndrome 병태로 이해하는 영상/진단/치료 | 20:08 |
| 360 | 결제 후 시청가능 | 신이식 [10] 세포거부매개반응(TCMR) 상황별 치료 | 17:03 |
| 361 | 결제 후 시청가능 | 염증성 장질환 [5] 소장 크론병의 진단 | 09:31 |
| 362 | 결제 후 시청가능 | COPD [2] 안정시 COPD 환자의 치료 | 12:42 |
| 363 | 결제 후 시청가능 | IE [4] 감염심내막염 치료: Streptococcus의 항생제 선택 | 08:47 |
| 364 | 결제 후 시청가능 | 심부전 [2] 심부전 치료: 심실재동기화(CRT) | 15:34 |
| 365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17. 심전도로 막힌 혈관 추정하기 (1) | 10:10 |
| 366 | 결제 후 시청가능 | 양대혈관 우심실 기시(DORV) | 14:59 |
| 367 | 결제 후 시청가능 | 13강. 황열 예방접종 | 12:02 |
| 368 | 결제 후 시청가능 | COPD [3] COPD 추적관찰 중 약물 조정 2025 GOLD [심화] | 21:01 |
| 369 | 결제 후 시청가능 | halo sign(달무리 징후) | 04:20 |
| 370 | 결제 후 시청가능 | 염증성 장질환 [5-2] 크론병의 영상 소견 | 12:26 |
| 371 | 결제 후 시청가능 | IE [5] 감염심내막염 수술 적응증 및 시기 결정 | 10:04 |
| 372 | 결제 후 시청가능 | 심부전 [3] 10일 전부터 잠시만 걸어도 호흡이 곤란한 57세 남자 | 16:55 |
| 373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18. 서맥의 체계적 접근 (1) | 14:00 |
| 374 | 결제 후 시청가능 | 담도 [3] ERCP로 발생한 천공(perforation)의 type 별 이해 및 치료 | 18:19 |
| 375 | 결제 후 시청가능 | 수정 대혈관전위 | 13:25 |
| 376 | 결제 후 시청가능 | 심부전 [4] 심부전 치료: ARNI의 원리와 실제 임상 적용 | 16:01 |
| 377 | 결제 후 시청가능 | 14강. 수막구균 예방접종 | 12:56 |
| 378 | 결제 후 시청가능 | 14-2강. 수막구균 예방접종 (2) B혈청군 백신 'Bexsero' | 11:35 |
| 379 | 결제 후 시청가능 | [심화] 염증성 장질환 [6] 크론병의 치료 | 11:22 |
| 380 | 결제 후 시청가능 | - 임신 관련 프로락틴종의 치료 알고리즘 [심화] | 14:37 |
| 381 | 결제 후 시청가능 | reticular/nodular pattern(그물/결절음영양상) | 08:21 |
| 382 | 결제 후 시청가능 | COPD [4] COPD 급성악화의 치료 | 10:51 |
| 383 | 결제 후 시청가능 | IE [6] 특수상황: Stroke이 동반된 감염심내막염 치료 [심화] | 08:06 |
| 384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19. 서맥의 체계적 접근 (2) | 11:07 |
| 385 | 결제 후 시청가능 | 담도 [4] 급성담관염의 중증도 평가에 따른 처치 | 20:31 |
| 386 | 결제 후 시청가능 | 총동맥간증(Truncus arteriosus) | 10:13 |
| 387 | 결제 후 시청가능 | 15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Hib) 예방접종 | 13:38 |
| 388 | 결제 후 시청가능 | 폐문부(hilum)이란? 좌측 폐문부가 더 높은 이유 | 07:23 |
| 389 | 결제 후 시청가능 | COPD [5] COPD 급성악화 시 고농도 산소를 주면 벌어지는 일 | 20:05 |
| 390 | 결제 후 시청가능 | 적혈구 [12] 지중해 빈혈 (Thalassemia)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진단 및 치료 | 18:07 |
| 391 | 결제 후 시청가능 | - 혈액투석 처방: 혈류량, 여과분율(pre/post FF) 계산에 따른 처방 변경 | 24:05 |
| 392 | 결제 후 시청가능 | 위종양 [1] ESD 적응증과 조기위암, 진행위암의 내시경적 감별 | 15:32 |
| 393 | 결제 후 시청가능 | 상기도 감염(감기): 항생제는 언제, 어떻게 써야 할까? | 10:27 |
| 394 | 결제 후 시청가능 | Case 20. 서맥의 체계적 접근 (3) & AV dissociation | 12:35 |
| 395 | 결제 후 시청가능 | 뇌하수체 [3] 요붕증의 진단 알고리즘 및 치료 | 11:52 |
| 396 | 결제 후 시청가능 | 전폐정맥 환류 이상(TAPVR) | 16:09 |
| 397 | 결제 후 시청가능 | Lateral chest x-ray 구조 찾기 [1] | 08:52 |
| 398 | 결제 후 시청가능 | COPD [6] 트렐리지 엘립타 - 흡입기 제형 이해 | 13:41 |
| 399 | 결제 후 시청가능 | 16강. 홍역 예방접종: 다양한 특수 상황 및 노출 후 예방 | 15:52 |
| 400 | 결제 후 시청가능 | 담도 [5] 담도 검사 알고리즘 (1) | 15:32 |
| 401 | 결제 후 시청가능 | 위종양 [2] 진행위암(AGC) 보우만 4형과 비후성 위염의 감별진단 | 09:40 |
| 402 | 결제 후 시청가능 | 브루셀라증, Invasive klesiella syndrome, 노카르디아증 | 13:04 |
| 403 | 결제 후 시청가능 | 담도 [6] 담도 검사 알고리즘 (2) | 09:58 |
| 404 | 결제 후 시청가능 | 기능적 단심실(single ventricle) 개괄 | 16:46 |
| 405 | 결제 후 시청가능 | Lateral chest X-ray 구조 찾기 [2] 퀴즈 먼저 풀어보기 | 05:25 |
| 406 | 결제 후 시청가능 | - 요붕증으로 발현한 Edheim-chester disease [심화] | 17:41 |
| 407 | 결제 후 시청가능 | - 혈액투석 처방: 항응고제 선택 (1) 표준 UFH과 saline flushing | 24:57 |
| 408 | 결제 후 시청가능 | 위종양 [3] 진행성위암의 및 전이성 위암의 치료: SISH, FISH, CPS | 22:08 |
| 409 | 결제 후 시청가능 | 수막알균감염: 예방접종 후 발생한 감염, Meningococcemia 치료 | 12:15 |
| 410 | 결제 후 시청가능 | 기능적 단심실 혈역학/증상/검사소견 | 17:47 |
| 411 | 결제 후 시청가능 | 담도 [7] Indeterminate biliary stricture와 담도 검사 알고리즘 | 16:54 |
| 412 | 결제 후 시청가능 | - 갈증도 없는 심각한 요붕증 Adipsic DI의 병태생리와 치료 [심화] | 08:13 |
| 413 | 결제 후 시청가능 | 위종양 [4] Gastric NET(신경내분비종양) type 1 병태생리 이해를 통한 진단 | 16:26 |
| 414 | 결제 후 시청가능 | 기능적 단심실(single ventricle) 치료 | 16:54 |
| 415 | 결제 후 시청가능 | 뇌하수체 [4] 면역항암제 유발 뇌하수체염,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진단 및 처치 | 15:54 |
| 416 | 결제 후 시청가능 | - 혈액투석 처방: 항응고제 선택 (2) citrate와 nafamostat | 12:43 |
| 417 | 결제 후 시청가능 | 위종양 [5] Gastric NET type 2, 3 및 Zollinger Ellison syndrome(ZES)의 병태생리, 치료 | 17:16 |
| 418 | 결제 후 시청가능 | 좌심 형성 부전 증후군(HLHS) | 17:13 |
| 419 | 결제 후 시청가능 | 뇌하수체 [5] 뇌하수체 졸중(apoplexy)의 진단 및 치료 | 12:03 |
| 420 | 결제 후 시청가능 | [심화] Neuroendocrine tumor: Carcinoid syndome 병태생리 | 14:24 |
| 421 | 결제 후 시청가능 | 경구혈당강하제 [3] 기전 및 부작용 별 분류 | 12:56 |
| 422 | 결제 후 시청가능 | 저혈당 [1] 저혈당 발생 시 신체 보상반응 | 07:10 |
| 423 | 결제 후 시청가능 | 갑상선 [1] 갑상선 결절 진단 알고리즘 | 11:08 |
| 424 | 결제 후 시청가능 | 소아의 무해성 심잡음 | 09:19 |
| 425 | 결제 후 시청가능 | 기본 [2] 단백뇨의 진단 알고리즘 | 19:35 |
| 426 | 결제 후 시청가능 | TTE [1] 양심실성 Tei index 증가를 보이는 병태 | 19:42 |
| 427 | 결제 후 시청가능 | 17강. 성인의 연령별 예방접종 정리 | 21:40 |
| 428 | 결제 후 시청가능 | 투석 [3] 혈액투석 중 발생하는 저혈압 원인 및 처치 | 14:11 |
| 429 | 결제 후 시청가능 | 결핵 [1] 폐결핵의 접근 및 진단 | 17:44 |
| 430 | 결제 후 시청가능 | - 수면다원검사 결과 해석 : 폐쇄성/중추성 + 저호흡/무호흡 진단 및 상황별 치료 | 26:37 |
| 431 | 결제 후 시청가능 | ALL [1] 성인 급성림프구성백혈병 ph(-) 재발 시 치료 및 CAR-T cell 치료 | 08:29 |
| 432 | 결제 후 시청가능 | 기관 삽관 튜브(Endotracheal tube) 위치 판단 | 07:12 |
| 433 | 결제 후 시청가능 | 위종양 [6] 위 기저선 용종증(Fundic gland polyposis)의 임상적 의미와 진단 | 07:33 |
| 434 | 결제 후 시청가능 | 저혈당 [2] 재발성 저혈당, 그 악순환 고리에 대해 | 07:21 |
| 435 | 결제 후 시청가능 | 갑상선 [2] 갑상선초음파 소견에 따른 악성도 및 FNA 시행 결정 | 10:43 |
| 436 | 결제 후 시청가능 | 식도 [1] 호산구성 식도염(EOE)의 진단 및 치료 | 14:32 |
| 437 | 결제 후 시청가능 | 심화문제 1 | 11:17 |
| 438 | 결제 후 시청가능 | TTE [2] 우심실 기능 장애를 평가하는 지표: TAPSE, FAC 등 | 25:54 |
| 439 | 결제 후 시청가능 | 중환자실에서 보는 tube, line: 퀴즈 먼저 풀어보기 | 05:47 |
| 440 | 결제 후 시청가능 | - 실제 갑상선초음파 소견 해석을 통한 판정 (결절 알고리즘 + 초음파 통합) | 16:08 |
| 441 | 결제 후 시청가능 | 결핵 [2] 좁쌀결핵의 진단 및 치료 | 06:47 |
| 442 | 결제 후 시청가능 | 저혈당 [3] 저혈당 환자의 응급처치, 다양한 case | 18:46 |
| 443 | 결제 후 시청가능 | 갑상선 [3] 아급성 갑상선염의 병태생리 및 치료 | 12:29 |
| 444 | 결제 후 시청가능 | 위/식도 [2] 식도열공탈장(hiatal hernia) type 별 내시경 소견 이해 | 14:24 |
| 445 | 결제 후 시청가능 | 심화문제 2 | 14:03 |
| 446 | 결제 후 시청가능 | TTE [3] 생존심근과 동면심근, 허혈성 심질환에서의 도부타민 검사 | 19:09 |
| 447 | 결제 후 시청가능 | 결핵 [3] 기관지 결핵의 접근 및 치료 | 11:31 |
| 448 | 결제 후 시청가능 | 갑상선 [4] 갑상선중독증(Thyrotoxicosis) 감별진단 | 09:04 |
| 449 | 결제 후 시청가능 | 식도 [3] 고해상도식도내압검사(HRM) 해석 및 진단 알고리즘 | 24:09 |
| 450 | 결제 후 시청가능 | 심화문제 3, 4 | 09:56 |
| 451 | 결제 후 시청가능 | - TSH 분비 뇌하수체 선종(TSHoma)과 갑상선 호르몬 저항성 증후군(RTH) | 13:30 |
| 452 | 결제 후 시청가능 | 결핵 [4] IGRA 검사의 원리 및 결과 해석 | 16:15 |
| 453 | 결제 후 시청가능 | 결핵 [5] 소아청소년의 잠복결핵감염 진단 및 치료 | 18:48 |
| 454 | 결제 후 시청가능 | 주요 심잡음 정리 + 심화문제 5 | 17:15 |
| 455 | 결제 후 시청가능 | 식도 [4] GERD 스펙트럼과 24시간 pH 산도 임피던스 검사 해석 | 16:57 |
| 456 | 결제 후 시청가능 | - TFT 패턴으로 thyrotoxicosis 원인 감별해보기 | 12:20 |
| 457 | 결제 후 시청가능 | 결핵 [6] 정상/면역억제자의 잠복결핵진단: TNF 길항제 사용예정자 | 10:41 |
| 458 | 결제 후 시청가능 | 시기별 심잡음 정리 | 13:36 |
| 459 | 결제 후 시청가능 | 저혈당 [4] Insulin Autoimmune Syndrome(인슐린 자가면역 증후군)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진단 및 치료 | 14:04 |
| 460 | 결제 후 시청가능 | 저혈당 [5] Insulin resistance syndrome(인슐린 저항성 증후군)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진단 및 치료 | 14:17 |
| 461 | 결제 후 시청가능 | 저혈당 [6] Insulinoma(인슐린종)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진단 및 치료 | 14:15 |
| 462 | 결제 후 시청가능 | 갑상선 [5] 갑상선 약물 부작용: 이행성 다발관절염, 혈관염 | 12:09 |
| 463 | 결제 후 시청가능 | 저혈당 [7] Non-Islet Cell Tumor Hypoglycemia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진단 및 치료 | 10:22 |
| 464 | 결제 후 시청가능 | 경구혈당강하제 [4] 상황에 가장 적절한 약물 | 11:06 |
| 465 | 결제 후 시청가능 | 갑상선 [6] 갑상선 기능 검사 이상의 흔한 원인, non-thyroidal illness | 12:03 |
| 466 | 결제 후 시청가능 | 바터부팽대 [1] AoV adenoma 발견 시 진단 및 처치 | 13:11 |
| 467 | 결제 후 시청가능 | 기본 [3] 무증상 세균뇨 정의 및 치료 대상 | 09:06 |
| 468 | 결제 후 시청가능 | 판막 [1] 승모판 협착증(MS) 기본설명 + CASE 1 | 16:45 |
| 469 | 결제 후 시청가능 | 투석 [4] 복막투석의 원리와 감염성 합병증의 치료 | 20:53 |
| 470 | 결제 후 시청가능 | 알레르기 [1] 천식의 다양한 진단 방법 [심화] | 26:19 |
| 471 | 결제 후 시청가능 | 관상동맥 [1] 2주전부터 새벽에 발생한 흉통을 호소하는 41세 여자 | 19:16 |
| 472 | 결제 후 시청가능 | CML [1] 만성골수성백혈병의 치료 반응 판정: 혈액/세포유전학/분자생물학적 지표 | 16:54 |
| 473 | 결제 후 시청가능 | 판막 [2] 승모판 협착증(MS) 시술/수술적 처치 + CASE 2 | 15:04 |
| 474 | 결제 후 시청가능 | 바터부팽대 [2] 바터팽대부 용종 절제후 발생한 응고증후군 | 13:14 |
| 475 | 결제 후 시청가능 | - NSTE-ACS 진단 및 위험도 분류에 따른 치료 | 26:02 |
| 476 | 결제 후 시청가능 | - AERD (Aspirin-Exacerbated Respiratory Disease)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진단 및 치료 | 17:11 |
| 477 | 결제 후 시청가능 | - 중증 천식과 생물학적 제제(Tezepelumab 중심) 기전으로 이해하는 치료 적용 | 12:04 |
| 478 | 결제 후 시청가능 | 알레르기 [2] 증상이 조절되지 않는 천식 환자의 단계 상향 | 10:54 |
| 479 | 결제 후 시청가능 | Chest CT에서 기관지폐분절(bronchopulmonary segment) 나누기 | 09:30 |
| 480 | 결제 후 시청가능 | 관상동맥 [2] 다양한 항혈소판제(anti-platelet agent) 기전 이해 | 10:51 |
| 481 | 결제 후 시청가능 | 판막 [3] 대동맥 협착증 [1] Aortic valve area 측정과 연속 방정식 | 10:56 |
| 482 | 결제 후 시청가능 | 갑상선 [7] 무증상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치료 전략 | 13:47 |
| 483 | 결제 후 시청가능 | 관상동맥 [2-2] ACS 항혈소판제 결정 전 고려해야하는 사항들 | 17:42 |
| 484 | 결제 후 시청가능 | 알레르기 [3] 직업성 천식의 접근 및 진단 [심화] | 11:42 |
| 485 | 결제 후 시청가능 | 면역저하자/소아 결핵 영상 패턴, Ghon/Ranke complex | 04:39 |
| 486 | 결제 후 시청가능 | 관상동맥 [3]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ACS) 항허혈치료 | 13:14 |
| 487 | 결제 후 시청가능 | 판막 [4] 대동맥 협착증 [2] 혈역학적 지표로 나눈 severe AS의 4가지 type | 19:33 |
| 488 | 결제 후 시청가능 | - 임신시 무증상 갑상선 기능저하증, overt hypothyroidism, hypothyroxemia 접근 전략 | 19:01 |
| 489 | 결제 후 시청가능 | 관상동맥 [3-2] STEMI 항응고제 실전 적용: UFH, LMWH, fondaparinux 비교 | 17:16 |
| 490 | 결제 후 시청가능 | 알레르기 [4] 과호산구증가증의 접근 [심화] | 10:58 |
| 491 | 결제 후 시청가능 | 정상면역자/성인 결핵 패턴, 활동성/비활동성 | 07:03 |
| 492 | 결제 후 시청가능 | 판막 [5] 대동맥 협착증 [3] classic low flow-low gradient에서 추가 감별을 위한 검사 알고리즘 | 12:33 |
| 493 | 결제 후 시청가능 | 갑상선 [8] 갑상선 기능 저하증 환자의 임신 시 대처 전략 | 17:02 |
| 494 | 결제 후 시청가능 | 판막 [6] 승모판 역류증(MR) 치료 알고리즘 + CASE 3 | 12:04 |
| 495 | 결제 후 시청가능 | 판막 [7] 승모판 폐쇄부전 역류량 계산을 통한 중증도 판정 및 치료 선택 | 12:40 |
| 496 | 결제 후 시청가능 | 갑상선 [9] 갑상선 기능 저하증 치료 - Levothyroxine 조절 전략 | 12:44 |
| 497 | 결제 후 시청가능 | 판막 [8] 대동맥판 협착(AS) + CASE 4 | 15:05 |
| 498 | 결제 후 시청가능 | 판막 [9] 대동맥판 협착(AS) + CASE 5, 6 | 12:15 |
| 499 | 결제 후 시청가능 | 판막 [10] 대동맥판막협착증 치료 알고리즘 + 대동맥 판막 면적 구하기 | 13:51 |
| 500 | 결제 후 시청가능 | 항생제 [1] 반코마이신 TDM: trough와 bayesian 방식 | 12:15 |
| 501 | 결제 후 시청가능 | 부신 [1] 일차성 알도스테론증의 진단 및 치료 | 31:21 |
| 502 | 결제 후 시청가능 | 기본 [4] 신장과 약물: 항생제 관련 알레르기 오해와 진실 | 17:20 |
| 503 | 결제 후 시청가능 | 경구혈당강하제 [5] 신기능이 나쁜 경우 | 07:08 |
| 504 | 결제 후 시청가능 | 투석 [5] 복막투석: 복막 평형검사의 해석 및 처방 [심화] | 17:12 |
| 505 | 결제 후 시청가능 | PLT [1] 혈소판 증가 시 어떻게 해야할까? | 26:35 |
| 506 | 결제 후 시청가능 | 고나트륨혈증의 치료: 수분결핍량과 자유수 계산을 통한 보급 방법 | 17:17 |
| 507 | 결제 후 시청가능 | 기타 [1] 폐농양의 호발부위 이해 및 치료 | 12:06 |
| 508 | 결제 후 시청가능 | 판막 [11] 대동맥판협착(AS) 치료 알고리즘 (2) | 14:45 |
| 509 | 결제 후 시청가능 | CLL [1] 만성림프구성백혈병의 진단/병기/치료 | 28:40 |
| 510 | 결제 후 시청가능 | 관상동맥 [4] NSTE-ACS 환자의 항혈전제 치료 | 14:07 |
| 511 | 결제 후 시청가능 | 항생제 [2] 티제사이클린(tigecycline)의 기전 및 적응증 이해 | 12:03 |
| 512 | 결제 후 시청가능 | 판막 [12] 대동맥판 역류(AR) + CASE 7 | 07:40 |
| 513 | 결제 후 시청가능 | 기타 [2] 다양한 인플루엔자 치료제 및 COVID-19 비교 | 12:34 |
| 514 | 결제 후 시청가능 | PLT [2] 진성혈소판증가증(Essential thrombocythemia) 진단과 치료 | 18:29 |
| 515 | 결제 후 시청가능 | - 부신 정맥 채혈(AVS)의 해석과 진단 알고리즘의 조정 [심화] | 15:50 |
| 516 | 결제 후 시청가능 | 부신 [2] 쿠싱증후군의 진단 및 치료 알고리즘 | 18:38 |
| 517 | 결제 후 시청가능 | 기타 [3] 흉막삼출의 감별 진단 | 19:02 |
| 518 | 결제 후 시청가능 | 판막 [13] 대동맥판 역류(AR) + CASE 8 | 13:59 |
| 519 | 결제 후 시청가능 | 항생제 [3] CRE, CPE와 Ceftazidime-avibactam, aztreonam | 16:53 |
| 520 | 결제 후 시청가능 | PLT [3] Pseudothrombocytopenia의 원리와 진단 | 07:26 |
| 521 | 결제 후 시청가능 | 부신 [3] 쿠싱증후군 다양한 증례 풀이 | 21:59 |
| 522 | 결제 후 시청가능 | 판막 [14] 대동맥판 역류(AR) + 심화 CASE 9 | 05:17 |
| 523 | 결제 후 시청가능 | 기타 [4] 기관지확장증의 진단 및 치료(안정/급성악화) | 26:00 |
| 524 | 결제 후 시청가능 | PLT [4] H.pylori induced thrombocytopenia + 헬리코박터 제균요법 [소화기 통합] | 13:26 |
| 525 | 결제 후 시청가능 | - 카타제너 증후군(Kartagener syndrome)과 원발성 섬모운동 이상(primary ciliary dyskinesia, PCD) | 11:39 |
| 526 | 결제 후 시청가능 | - inferior petrosal sinus sampling(IPSS)의 적응증 및 결과 해석 [심화 case] | 11:28 |
| 527 | 결제 후 시청가능 | 관상동맥 [5] 내시경 시술이 예정된 환자의 항혈전제 중단 결정 | 11:13 |
| 528 | 결제 후 시청가능 | 부신 [4] 부신피질기능저하증 진단 및 원인감별 + 쿠싱증후군 치료 | 28:57 |
| 529 | 결제 후 시청가능 | PLT [5] 헤파린 유도 혈소판감소증(HIT)의 진단 및 치료 | 15:41 |
| 530 | 결제 후 시청가능 | 부신 [5] 급/만성 부신 피질 기능 저하증의 치료 | 11:58 |
| 531 | 결제 후 시청가능 | 부신 [6] 갈색세포종(Pheochromocytoma)의 진단 및 치료 | 19:57 |
| 532 | 결제 후 시청가능 | 관상동맥 [6] 안정협 협심증의 약물선택 [심화] | 21:14 |
| 533 | 결제 후 시청가능 | 기본 [5] 신기능 추정 공식의 이해 및 적용: Cystatin C, CrCl, CKD-EPI 등 | 14:29 |
| 534 | 결제 후 시청가능 | - high/low transporter 상황 별 처방 변경 | 17:09 |
| 535 | 결제 후 시청가능 | 부신 [7] 부신우연종(adrenal incidentaloma) w/u 어떻게 하면 좋을까? | 22:16 |
| 536 | 결제 후 시청가능 | PLT [6] ITP(면역성혈소판감소증)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치료: 로감주사 언제 쓸까? | 16:14 |
| 537 | 결제 후 시청가능 | ILD [1] 간질성폐질환의 접근 및 진단 알고리즘 | 11:23 |
| 538 | 결제 후 시청가능 | 혈관 [1] 급성 대동맥 증후군 및 대동맥 박리의 내과적/수술적 치료 | 19:14 |
| 539 | 결제 후 시청가능 | MPN [3] 일차성골수섬유화증(PMF) 진단 및 치료 | 15:41 |
| 540 | 결제 후 시청가능 | 경구혈당강하제 [6] 국내에서 자주보는 당뇨약 조합의 원리 | 08:17 |
| 541 | 결제 후 시청가능 | 부신 [8] MACS(Mild Autonomous Cortisol Secretion) 병태생리 및 진단, 치료 | 13:43 |
| 542 | 결제 후 시청가능 | PLT [6-2] 성인과 소아 ITP 스테로이드 처방 비교 | 12:08 |
| 543 | 결제 후 시청가능 | - 매번 헷갈리는 GFR 계산: 이눌린, 1.73m2로 표준화 | 06:35 |
| 544 | 결제 후 시청가능 | ILD [2] 급성 호산구성 폐렴 접근 및 진단 | 09:00 |
| 545 | 결제 후 시청가능 | PLT [6-3] ITP와 기전으로 이해하는 TPO-RA 적용 | 13:39 |
| 546 | 결제 후 시청가능 | - GFR이 감소하는 다양한 이유, 병태생리로 큰 그림 그리기 | 13:55 |
| 547 | 결제 후 시청가능 | ILD [3] 과민폐렴(Hypersensitivity pneumonitis)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영상/진단 | 28:45 |
| 548 | 결제 후 시청가능 | ILD [4] 과민폐렴(Hypersensitivity pneumonitis) 상황별 치료 | 13:48 |
| 549 | 결제 후 시청가능 | - Evans syndrome :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AIHA)+ 면역성 혈소판감소증(ITP) | 09:51 |
| 550 | 결제 후 시청가능 | PLT [7] Thrombotic Thrombocytopenic Purpura (혈전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 20:20 |
| 551 | 결제 후 시청가능 | ILD [5] 만성 호산구 폐렴(CEP)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진단 | 14:56 |
| 552 | 결제 후 시청가능 | - TMA 스펙트럼, atypical HUS의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치료 | 09:43 |
| 553 | 결제 후 시청가능 | - ARB 실제 임상 적용: Cr/K 상승 어떻게 대처하나 | 21:53 |
| 554 | 결제 후 시청가능 | ILD [6] 기질화폐렴(Organizing pneumonia)과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영상/진단 | 20:14 |
| 555 | 결제 후 시청가능 | PLT [8] 혈소판기능장애: Glanzmann thrombasthenia (GT)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진단 | 10:03 |
| 556 | 결제 후 시청가능 | 복강내감염 [1] 1, 2차성 복막염의 구분 | 14:26 |
| 557 | 결제 후 시청가능 | HCM [1] septal HCM의 병태생리를 나타내는 다양한 지표: LVOT 폐색과 SAM 등 | 23:15 |
| 558 | 결제 후 시청가능 | ILD [7] NSIP(비특이 간질성 폐렴, Nonspecific Interstitial Pneumonia) 감별 진단 | 18:02 |
| 559 | 결제 후 시청가능 | 투석 [6] 복막투석 환자의 Weekly Kt/V 계산해보기 | 10:14 |
| 560 | 결제 후 시청가능 | 형질세포이상 [1] Smoldering myeloma와 Symptomatic multiple myeloma | 17:46 |
| 561 | 결제 후 시청가능 | 경구혈당강하제 [7] 방광염과 SGLT2i, 설포닐우레아의 변경 | 09:30 |
| 562 | 결제 후 시청가능 | 복강내감염 [1] 2, 3차성 복막염의 구분 | 14:35 |
| 563 | 결제 후 시청가능 | HCM [2] HCM과 MVP의 심잡음의 발생과 소리 변화 | 13:24 |
| 564 | 결제 후 시청가능 | HCM [3] HCM의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다각도의 치료 | 17:23 |
| 565 | 결제 후 시청가능 | ILD [8] 폐포단백증(Pulmonary Alveolar Proteinosis)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영상 및 감별진단 | 21:20 |
| 566 | 결제 후 시청가능 | HCM [4] Apical HCM, septal HCM과 운동선수의 심장(Athelet's heart) | 18:21 |
| 567 | 결제 후 시청가능 | ILD [9] 폐포단백증(Pulmonary Alveolar Proteinosis)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치료 | 15:14 |
| 568 | 결제 후 시청가능 | - 새로운 다발 골수종의 병기 설정 R2-ISS 적용하기 | 10:06 |
| 569 | 결제 후 시청가능 | - 다발 골수종의 치료 전략: 항암요법 분석 및 자가조혈모세포 이식 과정까지 | 28:42 |
| 570 | 결제 후 시청가능 | 투석 [7] 복막투석 중 발생한 일측성 흉수, 진균성 복막염의 처치 | 16:28 |
| 571 | 결제 후 시청가능 | 형질세포이상 [2] Non-IgM MGUS, IgM MGUS, light chain MGUS의 감별 | 11:59 |
| 572 | 결제 후 시청가능 | 형질세포이상 [3] Monoclonal gammopathy of undetermined significance(MGUS)의 임상적 의미 | 12:33 |
| 573 | 결제 후 시청가능 | - multiple myeloma, MGUS, smoldering MM 감별 연습 | 07:48 |
| 574 | 결제 후 시청가능 | - 복막투석 중 발생한 저나트륨혈증의 병태생리와 처치 | 18:56 |
| 575 | 결제 후 시청가능 | 형질세포이상 [4] POEMS syndrome | 16:15 |
| 576 | 결제 후 시청가능 | - Castleman 증후군의 분류 및 처치 (POEMS와 비교) | 13:32 |
| 577 | 결제 후 시청가능 | HIV [1] 새로워진 4세대 HIV Ag/Ab combo assay 원리와 HIV 진단 | 20:40 |
| 578 | 결제 후 시청가능 | 형질세포이상 [5] AL amylodosis(AL 아밀로이드증) 진단 vs. MGUS | 23:27 |
| 579 | 결제 후 시청가능 | HIV [2] HIV와 결핵 : IRIS와 상황별 치료 전략 | 17:33 |
| 580 | 결제 후 시청가능 | 형질세포이상 [6] Solitary plasmacytoma와 symptomatic multiple myeloma의 감별 | 15:55 |
| 581 | 결제 후 시청가능 | 형질세포이상 [7] WALDENSTRÖM MACROGLOBULINEMIA | 13:02 |
| 582 | 결제 후 시청가능 | HCC [1] 간세포암의 치료: 간이식, 간절제술 | 14:16 |
| 583 | 결제 후 시청가능 | [보충] 심화 random case 문제 풀이 | 18:00 |
| 584 | 결제 후 시청가능 | 중환자 [1] 예방적 항혈전제 처방 | 18:52 |
| 585 | 결제 후 시청가능 | 기본 [6] 소변 빌리루빈과 소변 빌리루비노겐의 해석 | 18:29 |
| 586 | 결제 후 시청가능 | 직업성폐질환 [1] 탄광부진폐증(Coal Workers’ Pneumoconiosis, CWP) | 10:12 |
| 587 | 결제 후 시청가능 | 매독 [1] 매독의 치료 판정 serofast는 무엇인가? | 13:15 |
| 588 | 결제 후 시청가능 | 부정맥 [1] 가슴두근거림으로 응급실에 내원한 61세 여자 | 25:55 |
| 589 | 결제 후 시청가능 | 응고인자이상 [1] 후천성 혈우병A(Acquired Hemophilia A)의 진단 알고리즘 및 치료 | 14:31 |
| 590 | 결제 후 시청가능 | HCC [2] 간세포암의 병기 및 치료: mUICC, BCLC 병기 | 11:59 |
| 591 | 결제 후 시청가능 | 중환자 [2] 중환자의 칼로리 보급 | 24:06 |
| 592 | 결제 후 시청가능 | 응고인자이상 [2] 선천성 혈우병A inhibitor 역가에 따른 치료 전략 | 18:58 |
| 593 | 결제 후 시청가능 | 부정맥 [2] narrow QRS tachycardia의 진단 알고리즘 | 14:17 |
| 594 | 결제 후 시청가능 | HCC [3] 간세포암의 전신치료: 1, 2차 항암제 선택 | 10:21 |
| 595 | 결제 후 시청가능 | 중환자 [3] 패혈성 쇼크의 승압제 사용: 노르에피네프린과 바소프레신 | 14:45 |
| 596 | 결제 후 시청가능 | 부정맥 [3] 갑자기 시작했다가 돌연 종료되는 두근거림을 보이는 23세 여자 | 17:18 |
| 597 | 결제 후 시청가능 | 중환자 [4] 기도삽관 시 etomidate vs. ketamine 포함 약물 선택 | 11:52 |
| 598 | 결제 후 시청가능 | 부정맥 [4] 의식을 잃고 응급실에 실려온 38세 남자 | 08:11 |
| 599 | 결제 후 시청가능 | HCC [4] Metastatic HCC의 항암치료 (2024 NCCN 가이드라인) | 16:10 |
| 600 | 결제 후 시청가능 | HCC [5] 간세포암종 치료: 경동맥 화학색전술(TACE) | 16:35 |
| 601 | 결제 후 시청가능 | 부정맥 [5] 운동 시 호흡곤란 및 전신실을 호소하는 73세의 심전도 소견 | 12:03 |
| 602 | 결제 후 시청가능 | HCC [6] 간세포암의 치료: 국소치료 | 10:55 |
| 603 | 결제 후 시청가능 | 부정맥 [6] 4일 전부터 지속적인 두근거림을 호소하는 50세 여자 | 14:05 |
| 604 | 결제 후 시청가능 | HCC [7] 조영제 초음파(CEUS-sonazoid)로 간결절 감별하기 [심화] | 25:24 |
| 605 | 결제 후 시청가능 | 부정맥 [7] 심방세동 환자에서 NOAC 선택 [심화] | 17:36 |
| 606 | 결제 후 시청가능 | HCC [8] 조영제 초음파와 MRI로 판정하는 Li-M와 Li-5 소견 [심화] | 15:26 |
| 607 | 결제 후 시청가능 | 부정맥 [8] 뇌출혈 과거력이 있는 심방세동 환자의 치료 전략 | 10:58 |
| 608 | 결제 후 시청가능 | 부정맥 [9] Catecholaminergic polymorphic ventricular tachycardia (CPVT)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진단 및 치료 | 14:49 |
| 609 | 결제 후 시청가능 | 부정맥 [10] RVOT와 fascicular VT의 심전도와 치료 | 23:08 |
| 610 | 결제 후 시청가능 | 부정맥 [11] Arrythmogenic cardiomyopathy(ACM)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진단 및 치료 | 36:11 |
| 611 | 결제 후 시청가능 | 조혈모세포이식 후 생착 전 ABO 불일치 환자의 수혈 전략 | 08:37 |
| 612 | 결제 후 시청가능 | 부정맥 [12] 브루가다 증후군(Brugada syndrome)의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치료 | 22:00 |
| 613 | 결제 후 시청가능 | 부정맥 [13] 선천성 Long QT syndrome type 별 병태생리를 통해 이해하는 치료 | 23:09 |
| 614 | 결제 후 시청가능 | 부정맥 [14] 후천성 Long QT syndrome: 전해질, 아미오다론 중심 | 20:17 |
| 615 | 결제 후 시청가능 | 사구체 [1] 사구체 질환의 분류 및 병력/진찰/검사 | 22:43 |
| 616 | 결제 후 시청가능 | 간결절 [1] 간혈관종(hemangioma)의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영상 및 치료 | 23:25 |
| 617 | 결제 후 시청가능 | 중환자 [5]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 감염(CRBSI) 발생 시 처치 | 13:29 |
| 618 | 결제 후 시청가능 | 간결절 [2] FNH(국소결절성과증식)의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영상 소견 및 치료 | 14:27 |
| 619 | 결제 후 시청가능 | 간결절 [3] 간선종(hepatic adenoma)의 type별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영상 소견 및 치료 | 37:45 |
| 620 | 결제 후 시청가능 | 사구체 [2] FSGS(국소분절사구체경화) 진단 및 치료 | 11:59 |
| 621 | 결제 후 시청가능 | 사구체 [3] membranous nephropathy(막성신병증) 진단 및 치료 | 18:01 |
| 622 | 결제 후 시청가능 | - MN(막성신병증) 위험도 분류 및 치료 전략 | 11:43 |
| 623 | 결제 후 시청가능 | 사구체 [4] MPGN(막증식토리콩팥염) 이해 및 진단 | 11:26 |
| 624 | 결제 후 시청가능 | 전해질 이상 [1] Type 1 신세뇨관 산증의 병태생리 및 진단 | 12:01 |
| 625 | 결제 후 시청가능 | 인슐린 [1] 분류 및 제제별 특징 이해, 인슐린 처방 수정하기 | 24:39 |
| 626 | 결제 후 시청가능 | 사구체 [5] IgA 신병증 진단 및 치료 | 13:34 |
| 627 | 결제 후 시청가능 | 전해질 이상 [2] Type 1, 2, 4 신세뇨관 산증 정리 | 11:38 |
| 628 | 결제 후 시청가능 | - IgA 신병증의 상황별 치료 전략 | 09:50 |
| 629 | 결제 후 시청가능 | 사구체 [6] PSGN(사슬알균감염후토리콩팥염) 진단 및 치료 | 18:52 |
| 630 | 결제 후 시청가능 | 신혈관질환 [1] 신동맥협착(Renal artery stenosis)의 병태생리 및 진단 | 19:53 |
| 631 | 결제 후 시청가능 | 사구체 [7] LN(루푸스 신염) 진단 및 치료 | 19:46 |
| 632 | 결제 후 시청가능 | 신혈관질환 [2] 신동맥협착(Renal artery stenosis)의 검사 및 치료 | 12:02 |
| 633 | 결제 후 시청가능 | - 임신 시 루푸스 신염의 치료 전략 | 11:19 |
| 634 | 결제 후 시청가능 | 사구체 [8] RPGN(급속 진행성 사구체 신염) 분류 및 다양한 case | 16:16 |
| 635 | 결제 후 시청가능 | 신혈관질환 [3] sinctigraphy와 renogram의 해석 | 20:12 |
| 636 | 결제 후 시청가능 | 사구체 [9] ANCA associated vasculitis(AAV) 감별진단 및 치료 | 35:20 |
| 637 | 결제 후 시청가능 | 사구체 [10] Cast nephropathy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진단 및 치료 | 13:12 |
| 638 | 결제 후 시청가능 | 림프종 [1] 미만성거대B세포림프종(DLBCL) 진단 및 Lugano(modified Ahn arbor) classification 적용 | 12:28 |
| 639 | 결제 후 시청가능 | 수혈 [1] 혈소판 수혈 불응증의 원리 및 처치 | 09:40 |
| 640 | 결제 후 시청가능 | 인슐린 [2] C-peptide로 약물조정, 가이드라인 전반 이해하기 | 17:23 |
| 641 | 결제 후 시청가능 | 수혈 [2] 백혈구 제거 vs. 방사선 조사 제제 수혈 이해하기 | 17:20 |
| 642 | 결제 후 시청가능 | 사구체 [11] 2차성 아밀로이드증(2ndary amyloidosis)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진단 | 16:38 |
| 643 | 결제 후 시청가능 | 림프종 [2] Mantle cell lymphoma의 진단 및 치료 | 09:08 |
| 644 | 결제 후 시청가능 | 림프종 [3] Extranodal NK/T cell lymphoma 진단 및 치료 | 09:59 |
| 645 | 결제 후 시청가능 | 인슐린 [3] 인슐린 용량 적정 알고리즘 | 11:09 |
| 646 | 결제 후 시청가능 | 림프종 [4] 호지킨림프종(Hodgkin's lymphoma) 진단-분류-치료 | 17:59 |
| 647 | 결제 후 시청가능 | 림프종 [5] 호지킨 림프종 재발 시 치료 및 Primary Mediastinal large B Cell lymphoma 감별 | 12:06 |
| 648 | 결제 후 시청가능 | 인슐린 [4] 경구혈당강하제 3제 요법에도 조절되지 않는 경우의 처방 수정 | 11:34 |
| 649 | 결제 후 시청가능 | 림프종 [6] 소포성 림프종(Follicular lymphoma) 진단 및 치료 | 17:34 |
| 650 | 결제 후 시청가능 | 인슐린 [5] 공복혈당이 높으나 저혈당이 발생하는 환자의 처방 수정, 1세대와 2세대 인슐린 | 14:40 |
| 651 | 결제 후 시청가능 | 림프종 [7] 척수천자의 적응증 및 High grade B cell lymphoma | 15:27 |
| 652 | 결제 후 시청가능 | 림프종 [7-2] Double/Triple hit DLBCL 개념 정립과 치료 전략 | 15:30 |
| 653 | 결제 후 시청가능 | 인슐린 [6] 베타세포 기능 보존을 위한 치료 전략 | 11:50 |
| 654 | 결제 후 시청가능 | 인슐린 [7] 일반병실 입원 환자의 혈당 조절 | 16:37 |
| 655 | 결제 후 시청가능 | 인슐린 [8] 중환자의 혈당 조절 알고리즘 및 적용 | 17:25 |
| 656 | 결제 후 시청가능 | CKD [1] 만성콩팥병의 정의 및 진단 시 주의사항들 | 16:39 |
| 657 | 결제 후 시청가능 | 인슐린 [9] 리조덱 사용의 응용 및 ultra-short acting insulin 적용 | 11:44 |
| 658 | 결제 후 시청가능 | CKD [2] 만성콩팥병의 치료 및 관리: 지질/혈당강하제 선택 및 식이 | 22:04 |
| 659 | 결제 후 시청가능 | 인슐린 [10] 인슐린 복합제와 혼합형 인슐린의 비교 및 치료 적용 | 19:08 |
| 660 | 결제 후 시청가능 | 전해질 장애 [1] 기텔만 증후군(Gitelman syndrome) 병태생리 및 치료 | 12:12 |
| 661 | 결제 후 시청가능 | CKD [3] 만성콩팥병의 치료 및 관리: 전해질/미네랄-골대사 이상 및 빈혈 중심 | 17:30 |
| 662 | 결제 후 시청가능 | 전해질 장애 [2] 바터증후군(Bartter syndrome), 선천 세관 기능 장애 정리 | 15:43 |
| 663 | 결제 후 시청가능 | 전해질 장애 [3] SIADH 진단기준 및 치료방법, ODS | 16:14 |
| 664 | 결제 후 시청가능 | CKD [4] 만성콩팥병의 빈혈 치료: iv iron 처방 | 16:08 |
| 665 | 결제 후 시청가능 | 비만치료제 [1] GLP-1 RA 전반 특징 비교와 절대 금기를 통한 실제 적용 | 14:47 |
| 666 | 결제 후 시청가능 | - 마운자로(tirzepatide) 실전 적용 | 15:57 |
| 667 | 결제 후 시청가능 | CKD [5] thiazide 계통 이뇨제 실전 적용 | 27:36 |
| 668 | 결제 후 시청가능 | 비만치료제 [2] 콘드라브(Bupropion/naltrexone) 기전으로 이해하는 실제 적용 | 17:17 |
| 669 | 결제 후 시청가능 | CKD [6] 투석과 와파린 calciphylaxis와 nephropathy | 13:13 |
| 670 | 결제 후 시청가능 | 비만치료제 [3] Orlistat 기전으로 이해하는 실제 적용 | 12:15 |
| 671 | 결제 후 시청가능 | 비만치료제 [4] 큐시미아(Pentermine/topiramate) 실제 임상 적용 | 15:17 |
| 672 | 결제 후 시청가능 | 기타 [1] 혈구탐식림프조직구증(HLH)의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진단 및 치료 | 20:41 |
| 673 | 결제 후 시청가능 | 사구체 질환 [1] FSGS 분류 체계 및 필요한 검사 [심화] | 07:26 |
| 674 | 결제 후 시청가능 | 사구체 질환 [2] 신증후군 질환군에서의 신생검 소견 감별 | 07:13 |
| 675 | 결제 후 시청가능 | 사구체 질환 [3] 가족성 혈뇨를 보이는 질환군의 감별진단 | 06:04 |
| 676 | 결제 후 시청가능 | 사구체질환 [4] RPGN 양상을 보이는 질환군의 감별 진단 [심화] | 09:04 |
| 677 | 결제 후 시청가능 | - HBV 관련 polyarteritis nodosa(PAN)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치료 | 13:18 |
| 678 | 결제 후 시청가능 | 사구체 질환 [5] 당뇨병성 신병증 병태생리, 자연경과 및 신생검 소견 | 16:47 |
| 679 | 결제 후 시청가능 | 복합 [1] LADA(Latent Autoimmune Diabetes in Adults) 병태생리 이해를 통한 치료 | 10:20 |
| 680 | 결제 후 시청가능 | 사구체 질환 [6] 당뇨병성 신병증 진단 및 치료, 신생검 적응증 | 17:57 |
| 681 | 결제 후 시청가능 | 사구체 질환 [7] 다음 환자에게 필요한 검사는? 진단은? 치료는? [심화] | 11:47 |
| 682 | 결제 후 시청가능 | 복합 [2] 전격성 제1형 당뇨(fulminant T1DM)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치료 | 09:35 |
| 683 | 결제 후 시청가능 | ADPKD의 병태생리, 진단, 치료 'tolvaptan' 중심 | 32:38 |
| 684 | 결제 후 시청가능 | 복합 [3] MODY(단일유전자 당뇨)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치료 | 14:19 |
| 685 | 결제 후 시청가능 | 복합 [4] Double diabetes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치료 | 10:3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