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ori

  • Home
  • 강좌안내
  • 블로그
  • 커뮤니티
    • 공지사항
    • 문의게시판
  • Login
  • Join
  • Home
  • Pages

블로그

Categories
  • 전체 보기
  • 혈액학 (2)
  • 순환기학 (12)
  • 호흡기학 (11)
  • 소화기학 (4)
  • 감염학 (1)
  • 신경학 (2)
  • 내분비학 (2)
  • 블로그카테고리 (0)
18 Feb

이차적 뇌졸중 예방을 위한 혈압 관리

치료를 받던 고혈압 환자는 뇌졸중 또는 일과성 허혈발작이 발생하면 뇌졸중 및 혈관질환 재발방지를 위해 발병 수일 후 고혈압 약물치료를 재개할 것을 권고한다. I A  뇌졸중 또는 일과성 허혈발작 환자의 고혈압 조절을 위해 ACE억제제/안지오텐신차단제, 티아지드계 이뇨제 또는 ACE억제제/안지오텐신차단제와 티아지드계 이뇨제의 병용 [...]

By 건또리
18 Feb

급성기 허혈성 뇌졸중에서 혈압 관리

정맥 내 혈전용해 치료가 적합한 급성기 허혈성 뇌졸중 환자에서 혈압이 높은 경우 정맥 내 혈전용해 치료 시작 전에 혈압을 185/110 mmHg 이하로 낮출 것을 권고한다. I B  급성기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혈압은 정맥 내 혈전용해제 투여 전에 185/110 mmHg 이하로 낮추어야 하고, 이후 24시간 동안 180/105 mmHg 이하로 유지할 것을 권고한다. I B  신경학적으로 안정적인 경우, 혈압이 140/90 mmHg 이상인 허혈성 뇌졸중 환자에서 입원 중 다른 금기사항이 없다면 장기적 혈압 조절 개선을 위해 고혈압 약물치료의 시작 또는 재개를 고려한다. IIa B  정맥 내 혈전용해 치료나 혈전제거술을 시행하지 않은 급성기 허혈성 뇌졸중 환자는 혈압이 220 [...]

By 건또리

건또리104 (446-34-00929) Daytoday_life@naver.com


2020 © DDori - Copyright. All Rights Reserved.